GMA : Gut Microbiome Analysis
NGS : Next generation sequencing
인체에 기생하는 미생물군 유전자 전체를 말하는 Microbiome 분석에 활용되는 것을 GMA(Gut Microbiome Analysis) 장내 세균 DNA 증폭분석과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유전체 분석 이라고 한다.
제2의 게놈 프로젝트(second genome project)는 우리 인체의 미생물군 유전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 마이크로비오타(Microbiota)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인체 장 속의 장내 미생물 전체의 유전자 (Microbiome) GMA.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분석을 통해서 장내 미생물 분포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국의과학연구원은 혈액 3cc만으로 50여 가지의 암을 진단할 수 있는 NGS 해독 기술을 의료계와의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제안하고 이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인체 게놈(Human Genome)과 제2의 인체 게놈(Second Genome)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하여 질환 진단 및 예후 진단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누구나 이 균을 장속에 소량 갖고 있지만 항생제 남용 등으로 광범위 항생제내성균으로 자라게 된다
특히 병원 입원 환자는 그 확률이 매우 커서, 위험도가 급상승 하는데 항생제로 치료 확율은 30%에 불과해 수백만명이 감염되고 수만명이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놀라운 것은 건강한 사람의 장내 미생물군총을 뽑아서 이 균에 감염된 사람의 장에 주입해 심어주면 치료율이 95%나 된다.
하지만 수개월 후 생활습관 특히 먹는 것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살이 쪘다.
한국의과학연구원 생명과학자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은 먹는 음식에 따라서 이 음식을 분해할 수 있는 균들로 분포도가 바뀐다고 한다. 반면에 다른 균들은 그 숫자가 줄어든 채 숨죽이고 다음 기회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신생아가 엄마 모유를 떼고 이유식을 하는 그 날, 장내 미생물의 지각변동이 시작된다. 신생아가 이유식을 시작할때 장내세균분석(GMA.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분석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환경을 살피는것도 매우 중요하다.
한국의과학연구원의 GMA분석과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정보만 알면 그 사람의 식생활 패턴도 분석 할 수 있다.
카르니틴은 엘칸이나 니세틸과 같은 의약품의 성분이기도 하며 우리 몸에 중요한 성분이다.
동물성 유래 물질인 카르니틴이나 레시친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서 이 TMAO로 전환 시키는데, 채식주의자들은 이 물질을 만들지 않는다.
즉, 채식주의자들의 장내미생물은 카르니틴을 만나도 이런 유해물질을 만들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채식주의자들도 수개월간 동물성 음식을 먹게되면 서서히 이 TMAO를 만드는 균주로 교체가 된다.
한국의과학연구원 KBS TV방송 소개♡클릭♡
'Microbi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식하는 방법 보식하는 법 단식 다이어트 식단 (0) | 2020.05.20 |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복합유익균 식이균형식 정 분말 microbiome 동맥경화 뇌졸중 치료 예방 한다 (0) | 2019.03.23 |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센터 한국의과학연구원 NGS 분석 기술 (0) | 2016.11.15 |
감기 부작용 임산부 감기약 추천 한국의과학연구원 (0) | 2016.04.27 |
암을 유발하는 세균 암을 치료하는 세균 (0) | 2014.11.09 |